윈도우즈의 경우:
C:\Users\user\.SpaceVim.d 디렉토리로 간다.
여기서 C:\Users\user\ 는 윈도우즈의 %HOMEPATH%
보통 설치해주는 기사들이 귀찮아서 사용자 이름을 user로 한다.
init.toml 파일을 열고 [options] 밑의 colorscheme 을 바꾼다.
예를 들어서 one colorscheme 을 쓰고 싶다면,
colorscheme = "one"
colorscheme_bg = "light"
# colorscheme = "gruvbox"
# colorscheme_bg = "dark"
one colorscheme 은 스페이스빔을 설치하면 같이 따라오지는 않는다.
따로 설치해야 한다.
https://github.com/rakr/vim-one
빨리 설치하고 싶으면,
https://github.com/rakr/vim-one/tree/master/colors
으로 가서 one.vim만 다운받아서
C:\Users\user\.SpaceVim\colors
디렉토리에 복사한다.
이 디렉토리에는 처음 설치하면 SpaceVim.vim 파일만 있다.
one.vim은 구태여 브라우저 오픈할 필요도 없이 다음과 같이 하면 다운받아진다.
wget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rakr/vim-one/master/colors/one.vim
특정 colorscheme 이 있는지 보려면 vim을 띄우고 : 을 치고 colorscheme 을 입력하고 스페이스를 입력한 후 탭을 쳐보면 가능한 colorscheme 들이 뜬다.